1단계(2739 / 구구단)
i의 기본값은 1이고, 9보다 작거나 같다. i는 한번의 루프마다 1씩 증가한다.
2단계(10950 / A+B)
5를 먼저 입력하라고 했고, 입력 결과는 5개다. 즉, 입력하는 5는 횟수의 제한을 주는 조건식에 들어갈 내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방식으로 이제 A와 B에 숫자를 하나씩 넣어주면 한번의 반복마다 합이 나오고, 5번을 적어넣으면 그 이후에는 입력이 되지 않는다.
3단계(8393 / 합)
4단계(15552 / 빠른 A+B(bufferedreader, bufferedwriter 사용)
5단계(2741 / n 찍기)
6단계(2742 / 기찍)
7단계(11021 / A+B)
#다음에 숫자도 1씩 늘어나기 때문에 i로 주고 i의 기초값을 1로 주고, T와 같거나 작을 때로 범위를 주어서 해결
8단계(11022/A+B)
9단계(2438 / 별찍기-1)
첫번째 for문의 조건에 따라 그 실행식으로 설정한 두번째 for문이 별을 찍는다.
그 다음 첫번째 for문 안에 있는 출력문으로 한 줄을 띄운다.
위의 순서를 조건 안에서 계속 반복한다.
9단계(2439/별 찍기-2)
1번 for문은 큰 틀을 짜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각 행을 설정하는 것이다.
2번 for문은 각 행마다 올 빈칸을 생성하는 for문이다. 내가 입력한 정수에서 1이 모자란 만큼 채울 것이고, 각 행이 진행될 때 마다 1개씩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그 범위를 내가 입력한 값인 N에서 1씩 계속 늘어나는 i를 빼준 값으로 설정한다.
3번 for문은 별을 찍는 for문이다. 별을 찍는 것은 2번 for문과 별개로 1번 for문 안에다가 만들어 준다. 이 식은 앞서 했던 별을 찍는 방식과 같다. 1부터 시작해서 점점 1개씩 늘어나며, 마지막으로 i의 값과 같아지면 멈추게된다.
마지막으로는 개행을 시켜주는 출력문을 작성해서 매 행마다 개행시켜 주면 된다.
백준10871 / X보다 작은 수
처음 입력할 N과 X의 값을 스캐너 변수를 사용해서 입력해주도록 한다.
다음으로 N개의 정수를 가지는 수열인 A를 배열을 통해서 생성해준다.
X보다 작은 값을 받을 정수인 min을 생성해준다.
반복문 안에서 수열 A안에 들어갈 숫자들을 스캐너 변수를 통해서 넣어줄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if문을 사용해서 입력받은 숫자들이 앞서 입력한 X보다 작을경우 min에 들어가도록 해서 하나씩 차례로 출력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