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블릿 프로그램 작성법
- 서블릿은 보편적으로 HttpServlet을 상속받아서 사용
- GET방식과 POST방식이 있으며, GET방식은 255자 이하, POST 방식은 255자 이상이다.
- http방식은 저 3개의 부분으로 되어있다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할 때, GET방식은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이 url에 그대로 노출된다.
- POST방식의 경우에는 정보가 암호화 되거나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보안성이 높음)
- 클라가 서버를 GET으로 호출하면, 서버는 doGet메소드를 실행
- doGet메소드는 2개의 객체를 가지고 있음
- 위 둘은 요청을 받고, 응답을 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 응답객체 resp를 사용해서 응답할때 어떤 타입으로 할 것이냐(텍스트/html타입으로 되어있고, 문자는 kr인 것)을 응답함?
-
<예제>
서블릿의 동작 원리
우리가 네이버 같은 웹 서버에 무언가를 요청하면 JVM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스레드를 만들고, 여기서 서블릿 객체를 생성해서, 이 객체에 내용을 담아 클라이언트 쪽으로 출력.
다른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붙으면 새로운 이 과정이 생겨남
서블릿 라이프 사이클
인스턴스가 생성되면, 서블릿 생성
서블릿 객체가 생성될 때 최초로 한번 init메소드가 실행된다.
그 이후 서비스 메소드 혹은 doGet메소드 등이 호출된다.
<예제 - service, init, destroy 체크>
첫 실행에서는 위와 같은 결과가 출력
새로고침 이후에는 init은 그대로고 service만 올라감
서버가 멈춘 이후에는 위처럼 destroy 메소드가 호출
'학원 > JSP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quest와 response 객체 (0) | 2022.03.02 |
---|---|
지시자 (0) | 2022.03.02 |
JSP 원리 분석과 구성요소 (0) | 2022.03.02 |
서블릿에서 한글처리와 폼 데이터 처리 (0) | 2022.02.28 |
서블릿(Servlet)과 JSP 프로그래밍 (0)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