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브라우저에 응답하는 페이지의 한글 처리하기
위의 경우처럼 한글이 ?로 뜨는 등 깨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경우에는 아래의 방식으로 인코딩을 해서 사용해야 한다.
<예제>
아까 전에 만들었던 Hello World 파일에 한글을 넣으면 이렇게 한글이 깨져서 나오게 된다.
이제 위의 코드처럼 charset에 한글처리를 해준 이후에는
한글이 제대로 출력된다.
폼 태그의 get/post 방식
위의 결과가 나오도록 하기 위해선 아래의 예제처럼 만들면 된다.
<예제>
html에서 form의 내용은 Method 서블릿을 찾아가서 get 혹은 post로 호출한 것을 찾아간다.
- html의 액션에서 서블릿의 이름을 찾아간다.
쿼리 스트링 처리
- 1, 2를 나누는 것은 ?로 ?앞은 url, 뒤는 쿼리 스트링이라고 한다.
- 쿼리 스트링이 모두 나타난 것으로 보아 get방식이 사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쿼리 스트링에서 '+'는 각기 다른 정보를 이어주는 것으로 보인다.(id + ps + 사용자 처럼)
입력 형식 태그
요청(request) 객체의 파라미터 관련 메소드
- 서블릿 파일을 만들면 자동으로 요청과 응답 객체가 매개변수로 들어오게 됨
- 위는 매개변수가 문자열
- 아래는 String의 배열
<예제>
- 참고로 실행은 html에서 실행해야 한다. html에서 정보를 서블릿으로 보내야하기 때문
- HTML파일
- charset이 원래는 euc-kr이었는데, 이러면 출력 값에서 한글이 깨져서 나왔기 때문에 utf-8로 변환
- value는 넘어가는 값이고, 앞은 표시되는 값
- 서블릿 파일
- request.setCharaterEncoding("utf-8");을 생략해도 값이 제대로 출력된다.
(이전버전에서의 문제점이 고쳐졌다고 한다.)
이런 오류가 발생했을 때는 서버 창에 들어가서
저기의 포트 번호를 바꿔주면 된다.
쿼리 스트링에 대한 한글처리하기
- 인코딩 : 문자를 코드(유니코드)로
- 디코딩 : 코드를 문자로
- 이 과정은 현재 버전에서는 필요가 없다는 것을 위의 예제로 확인 함(tomcat 9.0버전 이상)
요청 객체의 getParameterValues메소드
<예제>
- HTML 파일
- 서블릿 파일
'학원 > JSP - 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quest와 response 객체 (0) | 2022.03.02 |
---|---|
지시자 (0) | 2022.03.02 |
JSP 원리 분석과 구성요소 (0) | 2022.03.02 |
서블릿의 동작원리와 라이프 사이클 (0) | 2022.02.28 |
서블릿(Servlet)과 JSP 프로그래밍 (0) | 2022.02.28 |